Pleasure K

애플 AI전략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챗gtp 경쟁구도 본문

+AI NEWS

애플 AI전략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챗gtp 경쟁구도

Pleasure_K 2024. 5. 4. 13:02
728x90
반응형

미국 주식의 원탑이었던 애플이

아이폰 판매부진과 더불어 

AI 전략부재로 하락세입니다.

조선일보 5월4일자 신문 헤드라인

기사내용.

 

혁신의 아이콘 애플의 실적이 하락세입니다.

올 1분기 매출이 907억불으로 기록하면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하락한 수치입니다.

애플의 실적을 끌어내린 것은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아이폰 매출이 10%

하락했는데 중국에서의 부진이 원인입니다.

테그업계가 애플의 실적하락세가

일시적이 아닐 거라는 전망입니다.

이런 하드웨어 중심의 매출구조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매출구조 변경해야

생존할 수 있습니다.

AI비즈니스의 구성요소

 

그 중심에는 생성형 AI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챗gtp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코파일럿

구글은 제미나이를

한국 네이버는 클로바엑스등

대부분의 빅테크들은 생성형 AI를

가지고 있고 이걸 그들의

핵심 비즈니스로 키우려고 하고 있습니다

 

대용량 클라우드 서비스-네트워크 및 저장하드웨어

이런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계산을 하는 서버가 필요합니다.

이 분야에는 독보적으로 아마존 AWS

그다음 마이크로소프트 AZURE가

공공 클라우드를 장악하면 성장하고 있고

구글도 클라우드 사업에 힘을 주고 있습니다.

파운데이션 모델-비상업화 연구모델

이 부분은 대용량 언어시스템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시스템을 실험하는 곳입니다.

오픈 AI라는 곳이 가장 유명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일론머스크가

투자한 비영리단체로 연구기관입니다.

표에서 보듯이 오픈 AI 이외에도

여러 단체들이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상업용 모델

이제 우리가 살펴볼 내용은 맨 위쪽 

서비스 레이어인 생성형 AI서비스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구글 제미나이

네이버의 클로바엑스등이

바로 위에 설명한

파운데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각자 상업용 버전을 만듭니다.

 

 

애플도 이 파운데이션 모델 중 가장 적합한

모델을 채용해서 상업용 모델을 만들면

현재 빅테크와의 경쟁을 할 수 있습니다.

애플도 내부적으로 LLM model

거대 언어 모델로 구동되는 시리와

AI중심의 운영체계 iOS18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상업용 챗gpt를

만들고 사용자반응을 다시 반영해서

수정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애플은 예전의 소니처럼

매우 폐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이런 시스템을 오픈하는 것에

큰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은 애플의 경영진을

믿고 지켜보는 게 답이 아닐까 합니다.

지금까지 너무 잘해왔으니까요.

728x90
반응형